본문 바로가기
돈에 미치다/노후 전략

퇴직연금(1) : DB / DC 차이점 및 선택 요령

by stonebe 2025. 4. 2.
반응형

 목차

1. 퇴직연금이란?

퇴직연금은 근로자가 퇴직 후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기업이 퇴직금을 일정 방식으로 적립하고 운영하는 제도이다. 기존의 퇴직금 제도는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으로 지급하는 방식이었으나, 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이 어려워지면서 퇴직연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퇴직연금은 크게 DB형(확정급여형)DC형(확정기여형)으로 나뉘며, 각 방식에 따라 근로자가 받는 퇴직금의 계산 방법과 운용 방식이 다르다.

 

퇴직금
퇴직금

2. DB형 vs DC형 차이점 비교

DB형(확정급여형) 특징

  • 퇴직할 때 받을 퇴직금이 사전에 확정
  • 퇴직연금을 기업이 운용하며, 운용 성과와 상관없이 근로자는 일정 금액을 보장받음
  •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 전 평균 월급 × 근속연수
  • 장점: 안정적인 퇴직금 보장, 금융 지식이 없어도 됨
  • 단점: 기업의 재정 상태가 불안정하면 퇴직금 지급이 어려워질 수도 있음

DB형 퇴직연금
DB형 퇴직연금 계산 공식

DC형(확정기여형) 특징

  • 퇴직할 때 받을 퇴직금이 기업이 아닌 근로자의 운용 성과에 따라 달라짐
  • 매년 회사는 근로자의 DC 계좌에 퇴직금(평균 월급)을 입금하고, 근로자가 운영 
  • 퇴직금 계산 공식: 근로자가 운용한 자금의 성과에 따라 변동
  • 장점: 운용을 잘하면 퇴직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음
  • 단점: 금융 지식이 없거나 시장이 좋지 않으면 손해를 볼 수도 있음

3. 어떤 경우 DB형이 유리할까? 어떤 경우 DC형이 유리할까?

 

DB형이 유리한 경우 

  • 매해 연봉 인상율이 시장 수익율을 상회하는 경우 & 한 회사에서 오랫동안 근무할 계획이 있는 경우
DB형의 기본 계산 구조는 연봉 인상과 근속 연수가 동시에 퇴직금 규모에 영향을 끼친다.
- 근속 연수는 증가하나, 연봉은 동결 혹은 삭감(임금 피크제도 등)도 가능하기 때문에 퇴직금이 줄어들수도 있다.
  Ex.)  2024년에 평균 월급이 100원 / 10년 근속 : 퇴직금 1,000원
          2025년에 평균 월급이 90원 / 11년 근속 : 퇴직금 990원(24년 대비 -10원)
  • 안정적인 퇴직금을 원할 경우
  •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근무자

DC형이 유리한 경우

  • 매해 연봉 인사율이 시장 수익율을 하회하는 경우 or 이직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
DC형 계좌에서 은행 정기 적금(무위험)에 투자도 가능하기 때문에, 연봉 인상율이 은행 정기 적금 수익율보다 낮다면 DC형으로 전환이 유리하다.
  • 투자에 관심이 많고 금융 지식이 있는 경우
  • 연봉이 높은 경우

4. 퇴직연금 전환

  • 일반적으로 DB형에서 DC형으로 전환은 가능하나, DC형에서 DB형으로는 계산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전환이 불가능 하다.
    - 아래 표와 같이 DB형에서 DC형 전환은 기존에 쌓여 있던 DB 퇴직금을 근로자가 운영하는 DC 계좌로 입금으로 종결
    - 반대의 경우에는 근로자가 DC형을 통해 수익이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1,210원의 퇴직금을 근로자에게 줄수가 없다.

5. 결론: 퇴직연금, 나에게 맞는 선택은?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직장 생활 패턴과 투자 성향에 따라 유리한 방식이 달라진다. 기본적으로 장기 근속하고 안정적인 퇴직금을 원하면 DB형이 적합하며, 금융 지식이 있고 적극적으로 투자하여 자산을 증식하고 싶다면 DC형이 유리하다.

만약, 근무하고 있는 회사에 연봉 상한 or 임금 피크제를 운영하고 있다면, 연봉 동결 or 삭감전에 무조건 DC형으로 전환해야 한다.(DC형으로 전환해서, 은행 정기적금에 투자하는게 이득이다.) 

 

퇴직연금은 단순한 제도가 아니라, 노후를 위한 중요한 자산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 지금부터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하고, 퇴직 후 안정적인 생활을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퇴직연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