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에 미치다/노후 전략

퇴직연금(2) : 퇴직 소득세 계산(2025년 기준)

by stonebe 2025. 4. 3.
반응형

퇴직을 앞두고 있다면 가장 궁금한 점 중 하나가 ‘퇴직금에서 세금이 얼마나 빠질까?’일 것입니다. 단순히 퇴직금 액수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세금을 최소화하는 전략까지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금 세금 계산법과 부담을 줄이는 팁을 소개하겠습니다.
 

퇴직 소득세 계산

 

퇴직소득세 계산 방식

퇴직소득세는 일반 근로소득과 달리 분류과세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는 오랜 기간 쌓인 퇴직금에 대해 단기 소득세율을 적용하지 않도록 하는 조치입니다.
 

퇴직소득세 Flow

 
예를 들어, 20년 근무한 근로자가 1억 원의 퇴직금을 받는 경우 세금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근속연수 공제

  • 1,500만 원 + (250만 원 × (20년- 10))  : 공제액은 4,000만원이 됩니다.
근속연수 공제

 
2. 환산 급여 : [퇴직금(1억) - 근속연수 공제(4,000만원) ] /30년 * 12 : 3,600만원
 
3. 퇴직소득 공제(환산 급여 공제)

  • 800만원 + [환산급여(3,600만원) - 800만원] * 60% : 2,480만원
환산 급여 공제

 
4. 과세 표준 : 환산급여(3,600만원) - 환산소득공제(2,480만원) : 1,120만원
 
5. 환산산출 세액 : 과세표준(1,120만원) * 6% : 67.2만원

과세 표준

 
6. 퇴직소득 산출 세액 : 환산산출세액(67.2만원) /12*20년 : 112만원
 

절세 방법

1) 퇴직금을 한꺼번에 받는 대신 연금으로 수령하면 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일시금 수령: 퇴직소득세 전액 납부
  • 연금 수령 (10년 이내): 퇴직소득세의 70% 납부
  • 연금 수령 (11년 이후): 퇴직소득세의 60% 납부

즉, 연금으로 나눠 받으면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2) 퇴직 시기 조정
 
연말이 아닌 연초에 퇴직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연도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 방법

 
Q&A
 
Q1. 퇴직금 세율은 몇 %인가요?
퇴직금에 적용되는 세율은 일반 소득세와 다릅니다. 근속연수에 따라 실효세율이 결정되며, 10~30% 수준입니다.
 
Q2.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이 줄어드나요?
네, 연금으로 받을 경우 퇴직소득세의 60~70% 수준만 납부하면 됩니다.
 
Q3. 퇴직소득세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근속연수를 늘리고, 연금으로 수령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절세 방법입니다.
 

결론

 
퇴직금을 받을 때 세금을 고려하지 않으면 예상보다 적은 금액을 손에 쥘 수 있습니다. 미리 절세 전략을 세우고, 연금 수령 방식 등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