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에 미치다/기본 경제 상식15 미국주식투자를 위해서 알아야 하는 지표들 목차1. 경기 선행지수 (Leading Economic Index, LEI)2. 고용 지표 (Employment Indicators)3. 소비 및 심리지수 (Consumer Confidence & Spending)4. 금리와 채권시장 (Interest Rates & Bond Market)5. 원자재 및 환율 지표 (Commodities & Exchange Rates)1. 경기 선행지수 (Leading Economic Index, LEI)미국 주식투자를 준비할 때 가장 먼저 보는 게 경기 선행지수(LEI)다.LEI는 미국 콘퍼런스보드(The Conference Board)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향후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주로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제조업 신규주문, 소비자 기대지수, 장단기 금.. 2025. 8. 20. 투자 성과 지표 총정리: 꼭 알아야 할 10가지 핵심 용어 주식이나 펀드를 투자하다 보면 보고서, 유튜브, 블로그에서 낯선 용어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이 펀드의 CAGR은 12%다”, “MDD가 –35%까지 갔다”, “샤프 지수가 높다”는 말들이죠.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이런 지표들은 투자자의 성과와 리스크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도구입니다.오늘은 대표적인 투자 성과 지표 10가지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CAGR (연평균 복리 수익률)정의: 복리 기준으로 계산한 연평균 성장률공식: (최종가치/초기가치)1/n−1(최종가치/초기가치)^{1/n} - 1(최종가치/초기가치)1/n−1활용: 장기 수익률 비교에 최적예: 100만 원 → 3년 후 150만 원CAGR = (1.5)^(1/3) – 1 ≈ 14.5%2. MDD (최대 낙폭, Maximum .. 2025. 8. 19. 금현물 vs 금선물 투자 비교 및 미래에셋 TIGER KRX 금현물 ETF 분석 금현물 vs 금선물 투자 비교 및 미래에셋 TIGER KRX금현물 ETF 분석목차1. 금현물과 금선물의 기본 개념2. 주요 차이 및 롤오버 비용3. 수익률 비교 및 그래프4. 최근 출시: TIGER KRX금현물 ETF5. 투자 전략과 활용 시나리오6. 결론1. 금현물과 금선물의 기본 개념금현물은 현재 시세로 실제 금을 매매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실물 금의 특성상 자산 보존이 주 목적이고, ETF 또는 KRX 금시장을 통한 거래도 포함됩니다.반대로 금선물은 현재 시세로 계약을 체결하되, 만기일에 금을 인도 또는 정산하기로 약속하는 파생상품입니다. 2. 주요 차이 및 롤오버 비용선물 투자에서는 만기일이 다가오면 계약을 갱신해야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비용을 **롤오버 비용**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물을 장기.. 2025. 8. 18. 인플레이션 지표(CPI, PPI)가 미국 증시에 주는 시그널 1. 인플레이션 지표의 이해: CPI와 PPI란 무엇인가?미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있다.CPI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의 대표 지표로 사용된다.PPI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며, 미래의 소비자물가 상승을 예고하는 선행 지표로 간주된다.이 두 지표는 경제의 물가 상승 압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2025년 8월 미국 인플레이션 동향 분석2025년 8월, 미국의 인플레이션 상황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CPI 상승률: 소비자물가지수는 .. 2025. 8. 17. 달러 투자하는 방법 및 금리 비교 목차1. 외화예금, 달러 통장 왜 필요할까?2. 달러 통장 금리, 은행별 비교 포인트 (2024년 4월 기준)3. 이자만큼 중요한 환율 변동성4. 나에게 맞는 달러 통장 고르는 팁 1. 외화예금, 달러 통장 왜 필요할까?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 달러 통장, 즉 외화예금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다. 외화예금은 말 그대로 외화를 은행에 예치해두는 금융 상품이다. 원화 통장과 똑같지만, 통화만 달러(USD)나 유로(EUR), 엔(JPY) 등 외국 통화인 거다. 특히 달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축통화라서 환전도 쉽고 활용도도 높다. 그럼 왜 굳이 달러 통장을 만들어야 할까? 첫 번째 이유는 **환율 변동을 활용한 수익(환차익)**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환율이 낮을 때 달러를 사서 통장.. 2025. 6. 18. 5월 환율 급등 이유 및 전망 목차1. 원화 초강세, 단순한 무역 뉴스 때문일까?2. 대만 보험사의 외환 포지션 불일치가 만든 파장3. 타이완 달러 급등과 원화의 연쇄 반응4. 환율 급변이 가져오는 시장의 위험5. 결론: 구조적 리스크에 주목해야 할 때6. 환율 변동이 경제에 미치는 장단점1. 원화 초강세, 단순한 무역 뉴스 때문일까?최근 달러-원 환율이 1,440원대에서 1,384원까지 빠르게 하락하며 원화가 급격히 강세를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통상적인 변동 범위를 넘어선 수준으로,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가장 먼저 거론된 원인은 미중 무역 갈등의 완화다.2025년 5월 초, 중국 정부가 일부 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유예하고 양국 간 대화를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아시아 전체 외환시장에 긍정.. 2025. 5.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