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년 여행 지원금이란?
청년 여행 지원금은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이 만 19세~34세 청년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여행비 보조 제도다.
여행을 통해 지역 관광을 활성화하고, 청년에게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원 방식은 현금 지원, 숙박 할인권, 교통비 환급, 여행 프로그램 제공 등 다양하다.
예산 상황에 따라 선착순 또는 공모 형태로 진행되며, 매년 내용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예) 강원도는 '청년 희망여행' 사업으로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
예) 전라북도는 지역 탐방 여행 시 교통비와 숙박비를 최대 25만 원까지 제공
2. 지역별 지원금 제도 한눈에 보기
2025년 기준, 대표적인 청년 여행 지원금 제도는 아래와 같다.
① 서울시 ‘청년 마을여행’ 프로그램
- 대상: 만 19~34세 서울 청년
- 내용: 서울 외 지역 소도시로 떠나는 2박 3일 여행비 최대 15만 원 지원
- 특징: 여행 주제 제출 후 선정 시 지원
② 전라북도 ‘청년여행 지원 프로젝트’
- 대상: 전북 거주 청년 또는 대학생
- 내용: 교통비, 숙박비, 식비 포함 총 25만 원까지 실비 지원
- 방식: 지역 명소 인증샷 5장 제출 조건
③ 강원도 ‘청년 희망여행’
- 대상: 전국 청년 누구나
- 내용: 2인 이상 팀 구성 시 1인당 최대 30만 원 지원
- 조건: 지역 여행 후기 작성 및 온라인 공유
이처럼 지역마다 조건과 대상, 신청 방식이 다르므로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과 목적지 기준으로 확인해야 한다.
3. 신청 방법과 주의사항
신청은 보통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또는 청년 정책 포털을 통해 진행된다.
기본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다.
- 주민등록등본 또는 재학증명서
- 여행 계획서 (자유형식 또는 정해진 양식)
- 본인 통장사본
주의할 점:
- **여행 후 신청 불가한 경우도 많으므로 반드시 사전 승인제인지 확인해야 한다**.
- 일부는 결과보고서, SNS 후기, 설문지 작성이 필수다.
- 예산이 조기 소진되면 접수가 중단되므로 **신청 시작일에 바로 접수하는 것이 유리하다**.
4. 실제 수혜자 사례
사례 1: 대학생 A씨 (서울)
서울 청년 마을여행을 통해 강릉으로 2박 3일 여행을 다녀왔다.
기차비와 게스트하우스 숙박비를 포함한 총 13만 원을 환급받았다.
SNS에 여행 후기를 올리는 조건이 있었지만, 오히려 기록을 남기는 재미를 느꼈다고 한다.
사례 2: 청년 B씨 (전주)
전북 여행 지원금을 활용해 남원과 무주를 여행.
지역 명소 5곳 인증샷을 제출하고, 식비 포함 총 21만 원의 지원을 받음.
지역 맛집과 전통시장도 방문하며 여행 이상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5. 앞으로의 활용 팁
1. 지자체 뉴스레터 구독
신규 여행 지원 사업은 SNS보다 시청, 도청 뉴스레터나 고시공고에 먼저 올라온다.
2. 청년 정책 통합 포털 이용
‘청년정책ON’, ‘청년몽땅정보통’ 같은 포털을 이용하면 전국 지원 사업을 한 번에 확인 가능하다.
3. 여행 테마를 분명히 하기
‘미식 여행’, ‘로컬 마켓 탐방’, ‘역사문화기행’ 등 주제가 뚜렷하면 선정 확률이 높다.
4. 후기 공유로 또 다른 기회 얻기
후기를 블로그나 인스타그램에 남기면 **다음 프로그램 우선 선발 대상이 되는 경우도 많다**.
청년 여행은 단순한 나들이를 넘어 **자기 표현과 지역 연계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돈에 미치다 > 돈이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절세 방법(문화비 소득공제) (1) | 2025.07.07 |
---|---|
7월 21일 시작! 경주 민생회복 소비쿠폰 제대로 파헤치기 (0) | 2025.07.07 |
송금 이체 실수(착오 송금) 100% 돌려받은 방법 (1) | 2025.06.01 |
시각·청각 장애인 맞춤형 TV 신청하세요. (0) | 2025.04.21 |
서울시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어떻게 활용할까?(2025년)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