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LIG 넥스원은 중동 지역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천궁-II, 비궁, 현궁과 같은 국산 미사일 체계가 중동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한국 방산 기술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 글에서는 해당 무기 체계의 중동 수출 성과와 중동 국가들이 미사일 전력을 필요로 하는 배경, 그리고 향후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1. 중동에서의 한국 미사일 수출 성과
천궁-II: UAE와의 대규모 계약 체결
천궁-II는 한국이 개발한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로, 기존의 패트리엇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2년 1월, 아랍에미리트(UAE)는 약 4조 3천억 원(35억 달러) 규모로 천궁-II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한국 방산 역사상 단일 품목으로 최대 규모의 수출 계약으로 기록되었다.
UAE가 천궁-II를 선택한 이유는 명확하다.
- 이란의 탄도미사일 위협: 중동 지역은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란의 탄도미사일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이에 대한 방어 체계가 필수적이다.
- 예멘 후티 반군의 드론·미사일 공격: UAE는 예멘 내전에 개입하면서 후티 반군의 미사일 공격을 수차례 받았다. 이에 따라 신뢰성 높은 방공망 구축이 필요했다.
- 비용 대비 우수한 성능: 미국산 패트리엇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최신 기술이 적용된 천궁-II는 UAE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었다.
천궁-II 수출 성공은 단순한 무기 판매를 넘어 한국과 UAE 간의 방산 협력 확대 가능성을 열었다. 이후 다른 중동 국가들도 천궁-II에 관심을 보이며 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천궁의 가장 큰 단점은 실전이 없다는 것이다. '24년 후티 반군이 UAE 미사일 공격을 하였는데... THAAD / 패트리어트가 다 요격해서 천궁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비궁: 중동 국가들의 신형 대함 미사일로 주목
비궁은 한국이 개발한 무유도 70mm 로켓을 유도미사일로 개량한 무기 체계로, 보트와 같은 소형 해상 목표물에 대한 타격 능력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중동 지역에서 비궁이 관심을 받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호르무즈 해협의 긴장 고조: 이란과 서방 국가 간의 갈등으로 인해 호르무즈 해협에서 소규모 해상 충돌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란의 혁명수비대(IRGC)가 운영하는 소형 보트와 드론이 주요 위협으로 떠오르고 있다.
- 걸프만 내 해상 방어 강화 필요: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등은 해양 교역로 보호를 위해 신형 대함 미사일 도입을 검토 중이며, 비궁이 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와 UAE가 비궁 도입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향후 계약이 성사될 경우 한국의 해상 무기 체계 수출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현궁: 중동 지역에서 대전차 무기의 필요성 증대
현궁은 한국이 자체 개발한 휴대용 대전차 유도미사일로, 사거리 3km 이내에서 고정 및 기동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첨단 무기다. 중동에서 현궁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비정규전 및 테러 대응: 중동 지역에서는 ISIS 잔당, 시리아 내 반군 세력 등 비정규전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세력들은 종종 차량이나 장갑차를 이용한 기습 공격을 감행하는데, 현궁은 이들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무기다.
- 이스라엘과의 무기 경쟁: 이스라엘은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을 수출하고 있으며, 중동 국가들은 이에 대한 대안을 찾고 있다. 현궁은 스파이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 예멘 후티 반군의 전차 위협: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는 예멘에서 후티 반군과의 전투를 지속하고 있으며, 현궁은 이 지역에서 기동전 수행에 유용한 대전차 무기 역할을 할 수 있다.
현궁은 유튜브로 인해 중동에서 유명세를 떨쳤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3KM 밖에서 전차 -> 트럭 -> 오토바이를 현궁으로 차례로 타격을 성공하였고, 이것을 자기들끼리 돌려보다가 유튜브에 업로드하였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과 현궁의 수출 협상이 진행 중이며, 향후 추가 계약이 체결될 가능성이 있다.
2. 중동에서 미사일 전력이 필요한 이유
중동 국가들이 한국산 미사일 도입을 검토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이란과의 군사적 긴장: 이란은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 개발을 지속하며 주변국에 대한 위협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중동 국가들은 방공 및 대함 미사일 체계를 보강하고 있다.
- 후티 반군과의 충돌: 예멘 내전에서 후티 반군이 사우디아라비아와 UAE를 대상으로 탄도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감행하면서, 미사일 방어 체계가 더욱 중요해졌다.
- 미국 무기 의존도 감소: 전통적으로 중동 국가는 미국산 무기에 의존해 왔으나, 가격 및 정치적 이유로 대안을 찾고 있다. 한국산 미사일은 비용 대비 성능이 뛰어나고, 정치적 제약이 적어 유망한 선택지가 되고 있다.
3. 향후 전망
-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 추가 수출 가능성
- 천궁-II는 UAE뿐만 아니라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어 추가 수출 가능성이 높다.
- 비궁과 현궁의 시장 확대
- 소형 해상 목표물과 기동전 대응을 위한 수요 증가로 인해 비궁과 현궁의 도입 국가가 늘어날 전망이다.
- 중동 방산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 강화
- 최근 한국과 중동 국가 간 군사 협력이 강화되면서, 향후 탄도미사일 요격체계, 레이저 방어 무기 등 첨단 무기의 추가 수출이 기대된다.
- [우려점] 중동에 미사일 필요한 가장 큰 이유는 예멘의 후티 반군인데, 얼마전에 트럼프가 후티 반군을 때려잡기 시작하였다.
결론
LIG 넥스원의 천궁-II, 비궁, 현궁은 각각 방공, 해상 방어, 대전차 전력 강화라는 측면에서 중동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중동 지역의 안보 환경 변화와 한국 방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 기술적 우수성을 고려할 때, 향후 한국산 미사일의 중동 시장 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추가 수출 계약이 체결되면서, 한국 방산 산업은 세계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
'돈에 미치다 > 돈이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청년 / 신혼 / 신생아 매입 임대 주택 신청 바로가기 (0) | 2025.03.25 |
---|---|
금시세 전망 : 지금 금을 사야 할까? (0) | 2025.03.22 |
캐나다 60조 잠수함 사업 수주 가능성 진단 (0) | 2025.03.19 |
K방산 관련 ETF (0) | 2025.03.18 |
2025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0) | 2025.03.18 |